샛별

식사교육(부모편) 본문

육아정보

식사교육(부모편)

샛별87 2021. 2. 18. 14:4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샛별입니다.

체크 사항에서 확인했던 내용을 토대로 부모가 고쳐야할 것에 해당 되는 분들은 이 글을 참고 하셔서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알아 가시길 바랍니다. 또한 몇 가지 솔루션 중 오랜 시간이 걸리는 솔루 션이 있으니 중도 포기 하지 마시고 지속해 보시길 바랍니다.

시기는 사전체크글과 같이 시기는 돌 전후나 걸음마 시기를 기준으로 삼고 도전해보세요.

출처 - 구글

시간

매일 비슷한 시간에 식사 제공하기

30분~40분 정도 식사 시간

미리 아이에게 정확한 시간 알려주기

중간중간 식사 시간의 끝 알려주기

3~4시간 정도 식사 간격

점심과 저녁 사이에 간식 제공하기 단, 식사가 부족한 아이에만 해당되며 간식을 먹으면 밥을 안먹는 아이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장소 

매일 같은 장소에서 식사하기

돌아다니면서 먹는 것은 허용되지 않아야함.

좌식보다는 식탁을 식사장소로 해야한다.

영상물을 보지 않고 먹어야 하며 영상이 틀어져 있다면 등지는 상태에서 식사진행.

출처 - istockphoto

소통

식사시간은 즐거운 소통의 시간

아이가 식사에 스스로 집중할 수 있도록한다. 영상물을 보여주면 안되며 밥을 스스로 먹기 연습을 해야한다.

식사중 아이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하여 아이와 소통하려고 해야한다.

 

식사량

식사시 남기더라도 많은 양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밥을 다 먹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습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가 밥을 다 먹어서 칭찬을 받으면 즐거운 식사시간이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좌절감, 부담감, 골칫거리가 되어버린다.

아이와 대화가 가능 할 경우 다 먹을 수 있는지 질문 하고 스스로 먹을 수 있는 만큼 덜어서 먹어야 한다. 본인이 약속 대로 먹는다면 칭찬을 통해 아이의 자신감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식사량은 적고 간식만 먹으려는 아이는 본인이 배가 고픈지 아닌지 알고 있으니 식사량 조절을 먼저 시도한다.

아이들에게 식사와 식사 사이에 간식 필요

식습관 지도 기간 동안은 간식 보다는 밥으로 조절 할 수 도록 하며 간식 보다는 밥을 한번 더 주는것을 추천한다.

 

행동지도

음식 식사 도구 등을 집어던지는 행동을 할때가 있는데 이는 식사예절에 어긋나는 행동이라는 것을 인지 시켜야 한다.

의사소통이 안 되는 아이라면 단호한 말투로 안된다고 말을 하고 침묵 혹은 단호한 눈빛을 해야한다.

3번이상 던지는 등의 행동을 반복시 식사를 종료 해야한다.

아직 알아듣기 어려운 아이에게 긴 설명은 무의미하다.

훈육 상황을 다르게 받아들여 관심 받고 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단호하게 이야기 하고 침묵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네이버 포스트

식사중 물을 많이 마시는 아이는 식사 시 어려움 혹은 소화장애를 초래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자제하는것이 좋다. 밥 먹을 때 물마시거나 국에 밥 말아먹는 행위는 아이들이 충분히 씹고 소화 하는 과정 방해 할수 있다. 식후 물 마실수 있도록 합니다.

 

위에 다섯가지 솔루션을 오래 걸리더라도 노력을 해서 해보신다면 바로 변화를 보지는 못하더라도 기간을 둔다면 충분히 변화를 가지고 올수 있으니 사랑하는 아이를 위해 부모님이 노력해보도록 합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