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속초숙소
- 반려견구토
- 중고차보증보험
- 민생지원금
- 반려견감염증
- 이유식거부
- 애견카페
- 아이오닉5
- 남자선물추천
- 김포맛집
- 코로나백신
- 애견카페추천
- 반려견증상
- 모터원고양
- 중고차성능보험
- 반려견토
- 남자향수추천
- 아이오닉5실내
- 남자향수선물
- 맛집추천
- 카페추천
- 현대전기차
- 반려견건강
- e-gmp
- 향수추천
- 강화도맛집
- 반려견토할때
- 반려견건강생활
- 아이오닉5공개
- 교동도갈만한곳
- Today
- Total
샛별
사회성 발달 본문
안녕하세요 샛별입니다.
아이가 집에서만 지내다가 어느 나이가 되면 어린이집, 유치원 혹은 학교를 가게 됩니다. 사회성, 언어, 정서 등 전박적인 발달에 대한 걱정을 하게 됩니다. 이때 부모들이 걱정하는 것이 다른아이들에게 뒤처지는 것을 걱정합니다. 이중 부모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이 사회성 발달입니다. 사회성 발달이 덜되어 다른 아이들과 친하게 못지내면 어떻게 하나 라는 걱정을 하게됩니다. 공부만 잘하고 좋은 학교 좋은 직장을 다니면 좋은 사람이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집단 속 역할 혹은 능력 표현을 중시하는 사회로 변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건 사회성입니다.
아이의 사회성
친구를 어떤식으로 사귀게 될지 혹은 또래집단 속에서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을지는 중요합니다. 주변 사람에게 얼마나 배려하는지 양보하고 나눌 수 있는지 새로운 환경에 얼마나 잘 적응 하는지 또한 중요합니다.
첫 시작이 중요합니다. 첫시작은 주변사람이 아닌 나에서 먼저 출발 해야합니다. 자기 중심적 사고가 성인일 경우 이기적이게 보일수 있으나 아이는 친구에게 양보, 함께하기를 가르치는 것보다 나의 것, 나의 감정인식, 조절하는버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동생과의 갈등이 있는 아이
아이는 훈육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 본인에게 집중된 사회성 발달 단계에는 아이를 이해하려고 하고 존중해줘야 합니다. 아이가 다른 사람에게 방해받는다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도와줘야합니다. 동생을 격리하거나 같은 공간에서 다른놀이를 하게 해주면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다른 친구와 놀때에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습니다. 아이는 아직 발달단계가 완료 되지 않았다고 인식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 것이 중요하면 다른사람을 존중할수 있다.
유아기에는 또래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고 친구와 놀이를 시작하게 됩니다. 부모들은 아이가 또래 친구들사이에서 리드를 하였으면 좋으나 모방하기만 하는 것 같아 속상한 경우도 발생합니다. 사람은 저마다 타고나는 기질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형성되는 성격 성향은 사람마다 다르고 친구를 사귀는 방법또한 다릅니다. 이는 아이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어떠한 아이는 이목을 끌려고 하기도 하고, 친구를 힘들게하고 상처를 주기도 합니다. 어떤 이유인지 부모들은 친구들을 리드하며 자기중심적 모습을 보일 때 부모는 거정을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이가 어떤 사회성이 미숙한지 먼저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떠한 아이가 미숙한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속상해 하던 아이가 사회성이 부족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연령이 더 높아지면 자기중심적으로 마음대로 하는 친구보다 마음을 공감, 존중, 잘 따라가는 친구를 더 선호하게 될것입니다.
리드하는 것 같아 보이는 아이, 자존심 넘치는 아이, 소회되는 것처럼 보이는 아이라고 해서 사회성이 뛰어나거나 부족하다고 판단하면 안됩니다. 부모가 내 아이의 모습파악,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담임 선생님와 대화를 통해 주양육자가 판단하여 훈련 시켜야합니다. 아이의 기질존중, 환경 경험을 통해 성격, 성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충분히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것입니다. 아이가 꼭 친구들 사이에서 이끌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약자에게 힘이 되어 줄 수 있다는 격려를 통해서 나도 멋진사람이 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여유롭고 자존심도 높고 자신감 있는 아이로 성장
어느 집단에서든 앞에 나서서 집단을 이끄는 사람이 있는 반면 진단속에서 다른 사람을 아우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다른 방식으로 멋진 리더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하고 천천히 아이의 기질에 맞춰서 부족한 부분을 채울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양육자가 도움을 주고 옆에서 도와주면서 지금 아이들 연령에 가장 힘들고 큰 과제인 사회적 관계 어려움을 피하기 보다는 문제 상황에 직면하고 해결해 간다면 어느 집단에 포함 되더라도 역할을 잘 해내는 멋진 아이로 성장할 것입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다쳤을때(화상,감전,절단) (0) | 2021.02.18 |
---|---|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사소한실수 (0) | 2021.02.18 |
현명한 육아법 훈육과 허용범위 (0) | 2021.02.17 |
한글공부 언제해야할까 (0) | 2021.02.17 |
아이수면 문제 해결방법 (0) | 2021.02.17 |